주요 도시의 지역사랑상품권 구매·이용 방법

지역화폐는 대안화폐이다. 지역화폐는 일정한 지역사회 내에서 통용된다. 주민들이 물품과 서비스, 노동 등 서로의 자원을 교환하고 관계를 맺으면서 공동체
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유통하는 화폐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지역화폐의 모든 것을 알아보기로 한다.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지역화폐가 발행된것은 1999년 대전의 지역품앗이 ‘한밭레츠’이다. 외환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시작된 한밭레츠는 1999년 회원을 모집한 후 2000년 ‘두루’라는 화폐명으로 시작되었다. 한밭레츠는 1997년 외환위기 당시 경제를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노동과 물품을 지역화폐로 다른 사람과 교환하는 ‘다자간 품앗이’ 제도로 운용되었다.

지역화폐가 본격적으로 정책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시기는 2006년 성남시의 지역화폐 ‘성남사랑상품권’이 발행된 이후이다. 성남사랑 상품권은 성남시가 재래시장 특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제도로 시민들의 재래시장 이용률을 높여 영세 상인을 지원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그 후 소상공인 지원을 목적으로 2017년부터 지역사랑상품권이 본격적으로 발행되었고, 현재 전국 243개 지자체 중 191곳에서 발행, 유통되고 있다. 

우리나라 지역화폐의 발행은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 법률에 따르면 지역화폐의 정확한 명칭은 ‘지역사랑상품권’이며, 지역상품권, 지역화폐 등 그 명칭과 형태에 관계없이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일정한 금액이나 물품 또는 용역의 수량을 기재한 증표를 발행해 판매한다.

그 증표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물품, 용역을 제공받을 수 있는 유가증권, 선불전자지급수단, 선불카드를 지역사랑상품권이라고 말한다. 지역사랑상품권 소지자는 지방자치단체의 시장 또는 가맹점에 이를 제시해 사용할 수 있다.

지역마다 다른 지역사랑상품권

지역사랑상품권은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고 해당 지역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이다. 지역사회의 활성화와 지역 상인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발행되고 있다. 지역
사랑상품권은 보통 소상공인 매장과 전통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은 일반적으로 지류형, 카드형(선불형, 체크카드형), 모바일형(QR코드)으로 나뉜다. ‘지류형’은 종이화폐와 같은 방식으로 1,000원권, 5,000원권, 1만 원권으로 발행된 것이고, ‘카드형’은 금융사나 모바일 앱 등으로 현금을 충전해 사용하는 선불카드형, 체크카드형이 있다. ‘모바일형’은 모바일 앱을 통해 바코드나 QR코드를 활용해 결제하는 방식이다.
사용처는 매출액 기준으로 연 매출 10억원 이하의 매장으로 제한하고 있다.

주요 도시의 지역사랑상품권 구매·이용 방법

서울 
서울사랑 상품권 / 모바일형
· 서울시 25개 자치구 명칭으로 각각 발행(예: 광진사랑상품권, 서대문사랑상품권 등)
· 서울시 모든 자치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울사랑상품권도 발행
· 구매 방법: 서울페이플러스 앱에서 연결된 계좌나 신한카드를 통해 구매
· 할인율: 자치구에 따라 5~10% 할인
· 구매 한도: 상품권별 1인당 최대 월 50만 원
· 보유 한도: 상품권별 1인당 150만 원
· 유효기한: 상품권 구매일로부터 5년

부산 
동백전 모바일형, / 카드형
· 구매 방법: 모바일형은 동백전 앱을 통해 부산은행, 농협, 하나은행 등 제휴 금융기관의 계좌 연동으로 충전, 카드형은 동백전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
· 할인율: 결제 즉시 캐시백 적립 5%(월 30만 원 한도)
· 충전 한도: 월 100만 원
· 보유 한도: 150만 원
· 홈페이지: busandong100.kr

인천 
인천e음 모바일형, / 카드형
· 구매 방법: 인천e음 앱을 통해 인천e음 카드를 발급받아 앱에 등록하고, 원하는 은행계좌와 연결해 사용
· 할인율: 인천e음 가맹점 결제 시 최대 10% 캐시백, 상생가맹점에서 사용 시 최대 19% 캐시백, e음 택시 이용 시 월 이용한도 10% 캐시백 등(월 30만 원 한도)
· 홈페이지: www.incheoneum.or.kr

대구 
대구로페이 모바일형, / 카드형
· 구매 방법: 모바일형은 ‘iM#’ 앱에서 카드와 계좌 등록 후 충전해 사용. 카드형은 65세 이상만 대구은행에서 발급 가능
· 할인율: 충전 시 7% 할인
· 충전 한도: 월 50만 원
· 홈페이지: www.대구로페이.kr 

광주 
광주 상생카드 / 모바일형,카드형
· 구매 방법: 모바일형은 ‘광주상생카드’ 앱을 통해 충전해서 사용할 수 있고, 카드형은 광주은행, 우리은행 등에서 광주상생카드를 발급받아 사용
· 할인율: 충전 시 7% 할인
· 충전 한도: 월 50만 원 

대전 
대전사랑카드 / 모바일 카드형
· 구매 방법: 모바일로는 ‘대전사랑카드’ 앱을 통해 카드를 신청·등록 후 충전해 사용. 대전시내 하나은행, 농협은행을 방문해 카드를 발급받아 충전해 사용
· 할인율: 3% 캐시백
· 충전 한도: 월 30만 원
· 홈페이지: www.daejeonsarangcard.kr

울산 
울산페이 / 카드형, 모바일형
· 구매 방법: 모바일형은 ‘울산페이’ 앱을 통해 은행 계좌와 연동으로 충전해 사용하고, 카드형은 울산페이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고, 앱과 연동으로 충전해 사용
· 할인율: 20만 원 결제하면 7% 캐시백 지급
· 구매 한도: 월 20만 원 

세종 
여민전 / 카드형, 모바일형
· 구매 방법: 모바일형은 ‘여민전’ 앱을 통해 은행계좌를 등록하고 충전, 카드형은 여민전 앱을 통해 카드를 발급받아 충전해 사용
· 할인율: 월 구매 한도 내에서 여민전 가맹점에서 결제 즉시 캐시백 지급
· 구매 한도: 월 40만 원
· 혜택 한도: 월 최대 2만 8,000원
· 유효기한: 발행일로부터 5년 * 할인율, 구매 한도, 혜택 한도 등은 정책에 따라 변동

※ 그 밖에도 각 자치단체에서 지역사랑상품권이 발행되고 있다. 

지역화폐와 달라요! 온누리상품권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중앙정부에서 발행하는 상품권이다.
온누리상품권은 지역사랑상품권과 달리 전국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기본 할인율은 10%로 명절에는 최대 15%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고, 소득공제 혜택도 구매 금액의 40%까지 적용된다.

1인당 월 200만 원까지 구매할 수 있으며, 지류형과 카드형, 모바일형 모두 발행된다.
지류상품권은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등 16개의 은행에서, 충전식 카드형은 ‘온누리상품권’ 앱을 설치 후 기존에 갖고 있는 카드를 등록하고 금액을 충전 후 실물카드 결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상품권’은 앱(App) 온누리페이, 비플페이에서 구매한 후 QR코드 결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onnurigift.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핀테크(Fintech)
금융(Financial)과 기술(Technique)의 합성어로, 모바일이나 SNS, 전자상거래 등 기술기반의 업체가 구축해 놓은 플랫폼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

· 딥페이크(Deepfake)
딥러닝(Deep Learning)과 가짜(Fake)의 결합어로,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가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를 의미하며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